경남 항공 국가산업단지,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지정
24.05.28
85be26eeb4f1a72c3c0b75356bda5905ac89029a40ffeb5a9d95f1c9612c55fb25abdade9498dc853ebadd1212917c7cad3130e3fc8ad1c0d508e1fdf23d16a5

경상남도(도지사 박완수)는 경남 항공 국가산업단지가 스마트그린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됐다고 28일 밝혔다.

도는 스마트그린 국가산단 지정을 위해 2022년부터 진주시, 사천시, 한국토지주택공사(LH) 등과 협의체를 구성하고,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(도비 3억 원)를 지원하는 등 선제적으로 노력해왔다.

진주‧사천시 주관으로 올해 3월「스마트그린 산업단지 기본계획(안)」을 수립하여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국토교통부에 지정을 요청하였다.

국토부는 관계기관 협의,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경남 항공 스마트그린 국가산업단지를 지정하게 되었다.

a26890d9f650dfdc3b838f329d2a22c7d011105d9f3aefe90cf3ff57c427a17d0330e9e12dfead5e42cf3f16ddd7266bba896036db39bfe65368c48d3b0be40e

경남 항공 스마트그린 국가산단은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산단('22.7.), 대구 율하 스마트그린 국가산단('22.12.), 밀양 나노융합 스마트그린 국가산단('23.4.),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 국가산단('23.12.)에 이어 5번째로 지정되었다.

「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」 제7조의5에 따른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입주기업과 기반시설, 주거시설, 지원시설 및 공공시설 등의 에너지 자립, 디지털화 및 친환경화를 추진하는 미래지향적인 산업단지를 말하며, 이산화탄소(CO2) 배출량을 25%이상 감축하는 것이 목표로 한다.

경남도는 ‘경남 항공 스마트그린 국가산단 기본계획’에 따라 입주기업 지붕,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 발전(27MW)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소(5MW) 설치 등으로 에너지를 절감하고, 중앙부처 공모사업 등을 통해 산업단지 내 스마트・그린 요소를 접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약 25.2% 감축해 나갈 계획이다.

f51e625dea2a8c5e3637ca398cc0ea42a71167da7802720881d25035a521a1a2a34a132c63ed8f28e0aa644430c5700be06ba28cae4fa958c9db65018251dcf6

경남도는 산업단지 내 디지털화를 위해 스마트 횡단보도, 스마트 주차장, 스마트폴 등 지능형 교통・안전 인프라를 구축하여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는 한편, 입주기업의 생산성 향상 지원을 위한 스마트공장, 제조혁신플랫폼, 항공산단 메타버스 비즈니스 협업플랫폼 등 다양한 사업을 연계할 계획이다.

또한, 친환경화 전략으로서 공원, 보행도로 등에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고, 대기 미세먼지, 분진 등 실시간 환경 정보를 전달하여 예방활동과 대응력 강화를 위한 사물인터넷(IoT)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과 산단 내 발생되는 폐기물을 통합 관리 및 재활용하여 자원순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폐자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할 예정이다.

공유하기
광고보고 콘텐츠 계속 읽기
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
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.